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2024 학교폭력 사안처리 가이드북 - 학교의 학교 폭력 대응2
    학교폭력사안처리가이드북 2024. 9. 13. 04:01
    반응형

    ㅇ 학교폭력 감지, 인지를 위한 학교 구성원의 역할 및 책임

     

     - 학교폭력 실태조사

     * 학교폭력 실태조사 실시

     * 학교 및 학급단위에서 자체적으로 설문조사 등 수시 실시

     

     - 교내 학교폭력 신고

     * 학교폭력 신고함, 학교홈페이지 비밀게시판, 담임교사의 문자 및 메일 등 다양한 신고체계 마련

     * 피해 및 목격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신고하도록 지도

     * 학생, 학부모, 교사 대상 학교폭력 신고방법 안내(예방교육 시)

     

     - 교사의 관찰 및 상담 실시

     * 담임교사 등이 학교폭력 징후를 보이는 학생이 없는지 세심하게 관찰

     * 담임교사, 전문상담교사 및 전문상담사 등의 상담

     

     - 교내,외 순회지도

     * 점심시간, 쉬는시간, 방과후 시간 등 취약시간 순회지도

     * 학부모, 자원봉사자, 학생보호인력, 학교전담경찰관 등과 유기적 협력

     

     ㅇ 학교폭력 징후

     

     - 학교폭력 징후는 교사뿐 아니라 보호자도 파악할 수 있다. 학교폭력 징후를 통해 학교폭력을 초기에 감지하여 차단할 수 있다. 다만, 어느 한 가지 징후에 해당한다고 해서 학교폭력의 피해 및 가해학생으로 특정 지을 수는 없으며,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. 최근 사이버폭력의 경우 학교 내외에서 시, 공간의 제약 없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변인의 세심한 관찰과 관심으로 징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. 

     

     - 피해학생의 징후(예시)

     

     ㅇ 가정에서

     * 표정이 어둡고 평소보다 기운이 없다. 

     * 이름만 불러도 놀라는 등 사소한 일에도 크게 반응하고 평소보다 예민하다. 

     * 학교 가는 것을 싫어하거나 두려워한다. 

     * 이유없이 결석을 하거나 전학시켜 달라고 말한다. 

     * 몸에 상처나 멍 자국이 자주 발견되고 혼자 있고 싶어 한다. 

     * 절망감(예 : 죽고 싶다)이나 복수심(예 : 죽어라)을 표현하는 낙서가 있다.

     

     ㅇ학교에서

     * 친구들이 자신을 험담해도 반발하지 않는다. 

     * 모둠 활동이나 학급 내 다양한 활동 시, 소외되거나 배제된다. 

     * 쉬는 시간, 점심시간에 친구들을 피해 종종 자신만의 공간(화장실 등)에 머문다.

     * 옷이 망가지거나 준비물, 소지품을 잃어버리는 일이 잦다. 

     * 학교행사나 단체 활동에 참여하지 않으려고 한다. 

     * 특별한 사유 없이 지각, 조퇴, 결석하는 횟수가 많아진다.

     

     ㅇ 사이버폭력 피해 징후

     * 불안한 기색으로 정보통신기기를 자주 확인하고 민감하게 반응한다. 

     * 단체 채팅방에서 반복적으로 심리적 공격을 당한다.

     * 용돈을 많이 요구하거나 온라인 기기의 사용요금이 지나치게 많다.

     * 부모가 자신의 정보통신기기를 만지거나 보는 것을 극도로 싫어하고 민감하게 반응한다.

     * 문자메시지나 메신저를 본 후에 당황하거나 정서적으로 괴로워 보인다. 

     * 사이버상에서 이름보다는 비하성 별명이나 욕으로 호칭되거나 야유나 험담이 많이 올라온다. 

     * SNS의 상태글귀나 사진 분위기가 갑자기 우울하거나 부정적으로 바뀐다. 

     * 컴퓨터 혹은 정보통신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지나치게 많다. 

     * 잘 모르는 사람들이 자녀의 이야기나 소문을 알고 있다. 

     * 갑자기 휴대전화 사용을 꺼리거나 SNS 계정을 탈퇴한다.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